한국의 名방파제 낚시터-남해편
박경식 지음
2013년 8월 15일 / 186×242mm(4․6배판 변형)
392쪽 / 17,000원
■책 소개
최근의 바다낚시는 시간과 비용 부담 없이 누구나 쉽게 찾아 재미와 실속을 겸할 수 있는 방파제낚시가 대세다. 이 책은 우리나라 방파제낚시의 본거지(울산~여수 지역)에 소재한 ‘짜릿하고 맛있는 방파제 190개소’를 철저분석한 안내서이다. 현지 어종과 시즌, 포인트 분석은 물론 낚시터마다의 ‘지번주소’를 수록해 내비게이션과 휴대폰 길찾기 검색을 완벽 가능케 한 것이 특징이다.
■저자 소개
글, 사진 : 박경식
1974년 11월 부산 출생. 1993년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1999년 금오공과대학교 졸업하고 1999년 월간 <일요낚시> 취재기자로 입사하였다. 현재 월간 <낚시춘추>, <월간낚시21> 등의 낚시 전문지에 프리랜서로 활동 중이다.
■출판사 서평
●왜 방파제낚시인가 - 짜릿하고 맛있는 낚시
우리나라 동서남해안 모두에 방파제가 즐비해 있다. 육지 해안선을 따라 들쭉날쭉 위치한 항구와 포구마다에 방파제가 축조돼 있는가 하면, 모든 유인도와 함께 일부 무인도에까지 방파제가 축조돼 있을 정도다. 전국적으로 추산되는 방파제 숫자는 무려 3,000여 개소. 이 가운데 3분의 1 가량이 가용 낚시터로 추정된다. 새로운 방파제가 축조되는 경우도 있지만 관심 밖에 있던 기존 방파제가 새롭게 부각되는 경우도 많아 낚시터의 수적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곧 방파제낚시의 인기로 연결된다.
방파제낚시 붐이 해를 거듭할수록 확산되는 이유는 또 있다. 방파제를 구성하는 수중 구조물이 어초 역할을 하여 바닷고기들을 불러모으는가 하면, 해수온의 상승으로 새로운 어종이 가세하여 갯바위 못지않은 조황을 보여준다는 사실이다. 이에 방파제낚시는 기존의 찌낚시와 던질낚시를 합쳐 루어낚시까지 시도되는 종합 낚시 경연장이 되었다.
더욱이 출조 거리도 가깝고 굳이 배를 타지 않아도 되는 방파제낚시는 저비용, 고효율 낚시로 인식되어 이른바 ‘생활낚시’의 대표적인 장르로 각광받게 되었다. 짜릿하고 맛있는 바다낚시를 생활공간 근처에서 즐기는 추세에 부응한 이 책은 <한국의 名방파제 낚시터> 시리즈(전 4권> 중의 하나로 기획된 것이다.
●국내 최초 - 책 속의 모든 낚시터 ‘지번주소’ 수록
우리나라 방파제낚시의 본거지로 꼽히는 울산~여수 지역의 이름난 방파제 낚시터 190개소를 소개한 이 책은 매우 특별한 정보를 제공한다. 낚시터 여건 및 어종과 시즌, 포인트 분석 및 참고 사항, 인근 연락처 소개와 함께 방파제 고유의 ‘지번주소’(동리명+번지수)를 수록한 한 것이다.
일반 낚시터는 명칭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가 많고, 명칭 자체가 아예 부여돼 있지 않은 곳들도 많다. 따라서 대부분 방파제들은 명칭 검색만으로 길 찾기가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많은 낚시인들이 목적한 방파제를 찾아가지 못하거나 엉뚱한 곳에서 시간을 낭비하는 사례가 많아 불평불만의 소리가 높았다.
이 책은 낚시 단행본 사상 국내 최초의 서비스를 단행하였다. 철저한 현장답사로 해당 방파제의 명칭과 별칭을 정확히 파악하는 한편, 모든 방파제의 지번주소를 조사해 낱낱이 수록한 것이다. 이로써 국내 모든 제품의 내비게이션과 휴대폰 종류의 길찾기에 이 책에 수록된 방파제의 지번주소를 입력하면 현장까지의 교통은 일사천리, 만사형통이다.
●보너스 정보 -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 방파제낚시 Tip 등…
이 책에는 190개소 방파제 낚시터 소개뿐만 아니라 크게 3가지 정보가 추가 수록되어 있다.
첫째는 ‘방파제낚시터 대상어 도감’이다. 가자미·감성돔·벵에돔·볼락·우럭·농어·전갱이·고등어·학공치 등등의 어류는 물론 문어·오징어·주꾸미 등의 두족류에 이르기까지 남해 지역 방파제에서 낚이는 온갖 대상어들의 생태와 습성을 살아 숨쉬는 원색사진과 함께 수록함으로써 지피지기(知彼知己)의 전략을 세울 수 있게 했다.
둘째는 ‘방파제낚 Tip’ 10가지이다. 남해동부 지역 방파제낚시 어종별 캘린더, 방파제의 종류와 특징, 해초(海草)와 해조(海藻)의 차이, 조류(潮流)와 조석(潮汐), 병안류(竝岸流)와 이안류(離岸流) 등등에 관한 해설은 성공적인 방파제낚시를 위한 소중한 지식 정보가 될 것이다.
끝으로 이 책의 말미에 수록된 ‘낚시터 찾아보기’는 방파제 이름만으로 소개 지면을 가장 빠르게 찾을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목차
●Part 1. 울산광역시 / 024
당사방파제, 동방파제, 방어진방파제, 상진방파제 등 8개소
●Part 2. 울산광역시 울주군 / 042
간절곶방파제, 강양방파제, 골매방파제, 나사리방파제 등 9개소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① - 가자미류 051
●Part 3. 부산광역시 기장군 / 062
길천방파제, 대변방파제, 동백방파제, 암방파제 등 17개소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② - 감성돔 081
방파제낚시 Tip① - 남해동부 지역 방파제낚시 어종별 캘린더 091
●Part 4. 부산광역시 / 094
감천항 동방파제, 감천항 서방파제, 거북섬방파제 등 23개소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③ - 고등어 101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④ - 넙치(광어) 101
방파제낚시 Tip② - 방파제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110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⑤ - 노래미&쥐노래미 111
●Part 5. 창원시 / 140
구복방파제, 귀산방파제, 명동방파제, 삼포방파제 등 11개소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⑥ - 농어&점농어 147
방파제낚시 Tip③ - 바다의 제방 모두가 방파제는 아니다 151
●Part 6. 거제시 / 162
관포방파제, 구영방파제, 구조라방파제, 군령포방파제 등 42개소
방파제낚시 Tip④ - 신생 방파제는 물고기들의 뉴타운 168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⑦ - 도다리 169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⑧ - 망둥어(망둑 종류) 183
방파제낚시 Tip⑤ - 빨강․노랑․흰색… 등대 이야기 191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⑨ - 망상어 203
방파제낚시 Tip⑥ - 해초(海草)와 해조(海藻)의 차이 218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⑩ - 벵에돔&긴꼬리벵에돔 219
●Part 7. 통영시·고성군·사천시 / 234
견유방파제, 달아방파제, 봉전방파제, 삼덕방파제 등 17개소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⑪ - 보리멸 239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⑫ - 볼락 239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⑬ - 붕장어 249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⑭ - 성대 249
●Part 8. 남해군 / 270
가인포방파제, 감암방파제, 고두방파제, 구미동방파제 등 47개소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⑮ - 숭어 281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⑯ - 양태 281
방파제낚시 Tip⑦ - 조류(潮流)와 조석(潮汐) 287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⑰ - 우럭 종류 299
방파제낚시 Tip⑧ - 병안류(竝岸流)와 이안류(離岸流) 311
방파제낚시 Tip⑨ - 채비가 장애물에 걸렸을 때… 318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⑱ - 전갱이 319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⑲ - 전어 319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⑳ - 학공치 325
●Part 9. 여수시 / 356
대율방파제, 돌산방파제, 두문포방파제, 방죽포방파제 등 16개소
방파제낚시 Tip⑩ - 방파제낚시의 예절과 주의사항 366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㉑ - 갑오징어 367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㉒ - 흰오징어 367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㉓ - 꼴뚜기 377
방파제낚시 대상어 도감㉔ - 주꾸미 377
●부록 - 낚시터 찾아보기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