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열두 달 루어낚시
실전! 열두 달 루어낚시
김욱·신동만 외 11인 지음
2015. 9. 20. 초판 발행 / 변형 4․6배판 / 올 컬러 / 550면 / 책 / 20,000원
■책의 개요
지금은 루어낚시 시대! 형형색색의 인조미끼(lure)로 각종 물고기를 유혹하는 루어낚시가 대세다. 민물·바다 대상어종도 다양해 일 년 열두 달 어느 때고 즐길 수 있다.《실전! 열두 달 루어낚시》는 “언제, 어떤 어종을, 어디서, 어떻게, 가장 푸짐하게 낚아 맛있게 먹을 수 있을까?”에 대한 궁금증을 우리나라 민물·바다 어종별 루어낚시 전문가 13인이 맞춤식 강의하듯 차례차례 풀어나가는 형식이다.
■저자 소개
●김 욱
*1994년 이래, 낚시춘추·루어앤플라이·월간낚시21 집필 활동
*2011년, 경기대학교 레저스포츠학과 박사 과정 수료
*2014년~현재, 라팔라 프로스태프 활동 중
*2008년~현재, FSTV ‘더 캐스팅’ FTV ‘피싱오디세이 피크’ 이후 ‘탑 클래스’ 출연중
*본서 ‘배스낚시’ 집필
●김재우
*2005년~현재, 강화발이피싱샵(강화군 선원면 창리 669-2) 운영 중
*2009년~현재, N.S블랙홀 프로스태프 활동 중
*2011년~현재, 생활체육 강화군 낚시연합회장
*2015년~현재, FS-TV TARGET 3 진행
*본서 ‘가물치낚시’ 집필
●문석민
*2008년~현재, 루어인제주(제주시 용담1동 2814-7) 운영 중
*2008년~현재, N.S블랙홀 프로스태프 활동
*2009~2015년, KCTV제주방송 ‘스페셜 피싱’ 출연
*2014년~현재, HOOK 컴퍼니 프로스태프 활동
*본서 ‘넙치농어낚시’ 집필
●박경식
*1999년, 월간 <일요낚시> 취재기자 입사
*2011년~현재, 월간 <낚시21> <낚시춘추> <루어&플라이>에 고정 필진으로 활동중
*2011~2012년, FTV ‘바다낚시 리퀘스트’ 진행
*2013년 『한국의 名방파제낚시터-남해편』(예조원) 펴냄
*본서 ‘꼴뚜기(호래기)낚시’ 집필
●박영환
*1986년, 국내 배스 루어낚시·플라이낚시 초기 보급
*1992년, 낚시춘추 주최 ‘전국 필드캐스팅대회’ 플라이낚시 정투 부분 3연속 우승
*1990년, ‘앵글러스 리버’ 개업 이후 현 ‘낚시광’ 개업
*2012년~현재, 오천항 ‘낚시광호’ 선장으로 활동
*본서 ‘갑오징어낚시’ 주꾸미낚시’ 집필
●백종훈
*2007년~현재, N.S블랙홀 프로스태프 활동
*2014년~현재, 거상코리아 바다루어스태프 활동
*2015년~현재, 네이버 바다루어카페 ‘JIG & POP KOREA’ 운영 중
*2002년~현재, 푸른낚시마트(경남 고성군 마암면 보전리 843-1) 운영 중
*본서 ‘농어낚시’ ‘무늬오징어낚시’ ‘볼락낚시’ 집필
●신동만
*2001년 이래, 리빙TV·FSTV·FTV 등에 지깅·포핑 낚시 및 해외 원정낚시 소개
*2011년~현재, FTV 장기 프로그램 ‘샤크’ 고정출연 중
*2006년~현재, N.S블랙홀 프로스태프 활동
*1997년~현재, 지깅·포핑낚시 전문점(www.jiggingmall.com) 운영
*본서 ‘방어·부시리낚시’ 집필
●이명철
*2006년, 챌린저 프로 선수 입단
*2007년~현재, 루어매니아(강릉시 병산동 341-1) 운영 중
*2009년, 강원바다루어 창설
*2015년~현재, MONCROSS SWITZERLAND instructor 활동 중
*본서 ‘대구낚시’ 집필
●이희우
*2009년, 바다 루어낚시 및 참돔 루어낚시 입문
*2013년, 제1회 거제 대구낚시 슬로우지깅 대회 우승
*2012년~현재, 제주선상루어클럽 기술 자문으로 활동 중(닉네임 ‘라바라바’)
*2015년, N.S블랙홀 인스트럭처로 국내 최초 원 피스 타이라바 로드 개발
*본서 ‘참돔낚시’ 집필
●장용석
*2010년, FTV 밸칸토 계류 부분 스태프 활동
*2012년~현재, 대교루어클럽 운영자(닉네임 : 해피가리)
*2013년~현재, N.S블랙홀 계류 부분 프로스태프 활동
*2015년, 월간 <낚시춘추> ‘장용석의 쏘가리 투어’ 연재
*본서 ‘강준치·끄리낚시’ ‘쏘가리낚시’ 집필
●조홍식
*1997년, 경희대 대학원 이학박사
*1997년 이래, GT낚시·지깅낚시 등 해외 빅게임 국내 최초 소개
*2005년 이래, 『루어낚시 100문 1000답』(2005) / 『실전! 에깅&지깅』(2007) / 『루어낚시 첫걸음-바다편』(2009) / 『지구촌 괴어 대탐험』(번역서·2010) / 『루어낚시 첫걸음-민물편』(2010) 펴냄
*본서 ‘무지개송어낚시’ 집필
●채성현
*닉네임 : 을수(乙水)
*2007년, 꺽지사랑 총무
*2008년, 한국꺽지루어클럽(www.ggukzi.com) 초대 총무
*215년~현재, 인터넷 카페 꺽지사랑(cafe.naver.com/ggukzi) 회장
*본서 ‘꺽지낚시’ 집필
●최석민
*1996년, 낚시춘추 주최 ‘전국 필드캐스팅대회’ 플라이낚시 원투 부문 우승
*2005년, 한국스포츠피싱협회 연간 CHAMPION 획득
*1996~2009년, 리빙TV ‘낚시가 좋아’ FTV ‘오! 브라더스 시즌 3’ ‘그레이트 피싱’ 등 출연
*2015년 현재, 에스엠텍 대표 / (사)제로FG회계감사
*본서 ‘넙치(광어)낚시’ ‘우럭낚시’ 집필
■내용 소개
●루어낚시 종합 해설서이자, 출조 지침서
70년대 초중반 쏘가리로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루어낚시는 관련 장비 및 소품의 발달과 낚시기법의 세분화로 사계절 낚시 장르가 된 지도 오래다. 민물·바다 영역을 포함해 육식성 어종 대부분이 루어낚시 대상어에 포함되었다. 한두 가지 어종에 국한될 필요 없이 그때그때 잘 낚이는 대상어를 찾아 일 년 열두 달 고루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민물·바다 루어낚시 대표어종 20가지를 총 망라하되, 가장 푸짐하게 낚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피크 시즌별로 수록해 취사선택의 편의를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낚시 떠나기 좋은 계절, 또는 ‘나도 루어낚시 한 번 배워볼까’ 하는 생각이 드는 날, 조황 확률이 가장 높은 제철 어종을 선택해 한두 시간만 정독하면 곧 실전에 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초보자와 경험자 모두가 간직할 만한 루어낚시 종합 해설서이자, 제철 낚시 어종을 콕 짚어 필요한 정보를 일러주는 출조 지침서 역할도 한다.
●다종다양한 루어낚시, 한 권으로 끝내기
조황 확률이 가장 높은 20가지 어종별 출조 시기와 낚시방법을 달력 넘기듯 매 월별로 안내하는 이 책의 분량은 무려 550쪽. 인기 어종, 비인기 어종을 막론하고 소개 형식은 꼭 같다. 20가지 어종 모두 ‘생태와 습성’ ‘서식 및 분포’ ‘지역별 시즌 전개’ ‘장비 및 소품’ ‘루어 종류 및 운용’ ‘포인트 안내’ ‘실전 기법’ ‘유망 낚시터’ 순으로 전개되는 고정 항목별 해설이 빠짐없이 수록되었다. 루어낚시 어종별 해설서 20권 내용이 이 한 권의 책에 담긴 셈이다.
내용이 중복되는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으나 상대적으로 독립성이 강하다. 따라서 이 책은 지루하게 독파할 필요가 없다. 거주지 인근에서 당장 쉽게 만날 수 있는 어종이나 취향에 맞는 어종을 골라 필요한 만큼의 지식을 습득한 후 실전에 임하면 된다. 어떤 어종이건 제대로 던지고(캐스팅), 감아 들이는(릴링) 루어낚시의 기본 동작만 익히면 다른 어종의 낚시는 한결 손쉬워진다. 모든 루어낚시는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낚시 단행본 사상 최고·최다의 필진 참여
우리나라 루어낚시 대표 어종 20가지를 해설한 이 책의 저자는 무려 13인. 대상어종이 늘어나고 수도권 중심의 동호인이 전국으로 확산된 만큼 전문성과 지역성을 고려한 결과다. 순순 낚시인을 포함해 낚시 관련 제조 및 판매업에 종사하거나 낚싯배 가이드에 이르기까지 각계 각지의 전문가가 폭넓게 참여한 것이다.
이들 모두는 낚시를 오래 한 이력은 물론, 수년간 낚시TV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낚시잡지 필진으로 활약해 그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인물들이다. 또 자신이 즐기는 분야의 루어낚시를 오래도록 전파한 만큼 일반 낚시인들이 궁금해 하는 사항을 누구보다 꿰뚫고 있다. 그 결과 이들 전문가 13인이 어종별로 책임 집필한《실전! 열두 달 루어낚시》는 전문성과 다양성이 한결 추구되었다.
●권말 부록으로 3가지 보너스 정보 수록
이 책에는 크게 3가지 보너스 정보가 수록되었다.
첫째는 ‘수산자원 포획 금지 체장 및 기간과 구역’을 도표로 수록한 것이다. 우리나라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이 규정한 수산 동식물 포획 및 채집 금지에 관한 내용 중 낚시 대상어 관련 사항만 추려 소개함으로써 낚시인들이 꼭 지켜야 할 법규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게 하였다.
둘째는 ‘낚싯줄과 봉돌 규격 비교표’이다. 우리말 도량형(度量衡) 단위와 여러 외국 단위가 혼합 사용되고 있는 각종 낚시 용품 규격은 웬만한 전문가들도 구분을 못해 어려움을 겪는다. 길이와 무게에 대한 각각의 단위 표시를 도표로 규격화함으로써 두고두고 참고할 수 있게 하였다.
셋째는 ‘루어낚시 채비 묶음법 & 연결법’이다. 루어낚시를 하려면 손수 채비를 묶거나 연결해야 하는 일이 수없이 발생한다. 다양한 이유로 그때그때 교체해야 하는 루어는 번번이 타인에게 의지할 수 없어 특히 손수 묶어야 한다. 평소 익혀 두면 편리하고 유익한 루어낚시 채비 묶음법 및 연결법 12가지를 그림으로 소개하였다.
■목차 소개
Part 1 봄낚시
03월 - 넙치농어낚시(문석민) / 026
04월 - 배스낚시(김 욱) / 038
04월 - 쏘가리낚시(장용석) / 090
05월 - 가물치낚시(김재우) / 124
05월 - 꺽지낚시(채성현) / 140
05월 - 우럭낚시(최석민) / 168
Part 2 여름낚시
06월 - 강준치·끄리낚시(장용석) / 188
06월 - 넙치낚시(최석민) / 206
06월 - 참돔낚시(이희우) / 240
07월 - 농어낚시(백종훈 외) / 264
Part 3 가을낚시
09월 - 방어·부시리낚시(신동만) / 312
09월 - 무늬오징어낚시(백종훈) / 346
10월 - 갑오징어낚시(박영환) / 386
10월 - 주꾸미낚시(박영환) / 410
11월 - 무지개송어낚시(조홍식) / 430
Part 4 겨울낚시
12월 - 볼락낚시(백종훈) / 452
01월 - 꼴뚜기낚시(박경식) / 496
02월 - 대구낚시(이명철) / 508
Part 5 권말 부록
부01 - 수산자원 포획 금지 체장 및 기간과 구역(편집부) / 530
부02 - 낚싯줄과 봉돌 규격 비교표(편집부) / 531
부03 - 루어낚시 채비 묶음법 & 연결법(편집부) / 532